728x90
알고리즘 문제를 풀다보면 여러 조건으로 정렬을 해야하는 경우가 있다.
파이썬으로 문제를 풀 때는 sort(), sorted()를 주로 사용한다.
sort()
a=[4,2,7,3,8]
data=a.sort()
#data=[2,3,4,7,8]
변수명.sort() 는 기본 정렬 기능으로, 오름차순으로 정렬한다.
내림차순으로 정렬하고 싶은 경우에는 변수명.sort(reverse=True) 라고 입력하면 된다.
sorted()
#두번째 인자를 기준으로 오름차순 정렬하고,
두번째 인자 값이 같은 경우 첫번째 인자를 기준으로 내림차순 정렬하는 경우
a=[(1,2),(3,4),(6,2),(7,1)]
b=sorted(a,key=lambda x : (x[1],-x[0]))
sorted의 키 인자로, 내가 설정할 비교 함수(lambda)를 넣어준다.
-를 붙이면 현재 정렬차순과 반대로 정렬하게 된다.
728x90
반응형
'개발 > 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Pyhton/파이썬] 순열과 조합 (0) | 2022.05.14 |
---|---|
[Python] 데크(deque) (0) | 2022.05.13 |
[파이썬] find, index 함수 (0) | 2022.01.13 |
[파이썬] collections 모듈 - Counter (사용빈도 확인) (0) | 2021.12.27 |
[파이썬] 올림, 내림, 반올림 (0) | 2021.12.2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