goblin
리니팅
goblin

공지사항

전체 방문자
오늘
어제
  • 분류 전체보기 (75)
    • 개발 (31)
      • Spring (12)
      • JPA (4)
      • JAVA (4)
      • Python (6)
      • Docker (1)
      • Error (3)
      • Spring Cloud로 개발하는 MSA (1)
    • 알고리즘 (32)
    • 자료구조 (3)
    • 컴퓨터 개론 (3)
    • 개인 프로젝트 (4)
      • 쇼핑몰 만들기 (4)

블로그 메뉴

  • 홈
  • 태그
  • 방명록

인기 글

태그

  • 다이나믹 프로그래밍
  • 조합
  • 알고리즘
  • 백준
  • 동적계획법
  • 스프링부트
  • 스프링
  • 다이나믹프로그래밍
  • 정렬
  • 파이썬
  • 구현
  • springboot
  • tdd
  • python
  • 클래스
  • gradle
  • JPA
  • 프로그래머스
  • Intellij
  • Spring
  • 코딩테스트연습
  • 객체
  • inflearn
  • BOJ
  • 문자열
  • dp
  • 코딩테스트
  • 자료구조
  • sorting
  • 파워자바

최근 댓글

최근 글

티스토리

hELLO · Designed By 정상우.
goblin

리니팅

알고리즘

[BOJ/Python3(파이썬)] 백준 2805번: 나무 자르기

2021. 12. 22. 18:56
728x90

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2805

 

2805번: 나무 자르기

첫째 줄에 나무의 수 N과 상근이가 집으로 가져가려고 하는 나무의 길이 M이 주어진다. (1 ≤ N ≤ 1,000,000, 1 ≤ M ≤ 2,000,000,000) 둘째 줄에는 나무의 높이가 주어진다. 나무의 높이의 합은 항상 M보

www.acmicpc.net

 

문제

상근이는 나무 M미터가 필요하다. 근처에 나무를 구입할 곳이 모두 망해버렸기 때문에, 정부에 벌목 허가를 요청했다. 정부는 상근이네 집 근처의 나무 한 줄에 대한 벌목 허가를 내주었고, 상근이는 새로 구입한 목재절단기를 이용해서 나무를 구할것이다.

목재절단기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. 먼저, 상근이는 절단기에 높이 H를 지정해야 한다. 높이를 지정하면 톱날이 땅으로부터 H미터 위로 올라간다. 그 다음, 한 줄에 연속해있는 나무를 모두 절단해버린다. 따라서, 높이가 H보다 큰 나무는 H 위의 부분이 잘릴 것이고, 낮은 나무는 잘리지 않을 것이다. 예를 들어, 한 줄에 연속해있는 나무의 높이가 20, 15, 10, 17이라고 하자. 상근이가 높이를 15로 지정했다면, 나무를 자른 뒤의 높이는 15, 15, 10, 15가 될 것이고, 상근이는 길이가 5인 나무와 2인 나무를 들고 집에 갈 것이다. (총 7미터를 집에 들고 간다) 절단기에 설정할 수 있는 높이는 양의 정수 또는 0이다.

상근이는 환경에 매우 관심이 많기 때문에, 나무를 필요한 만큼만 집으로 가져가려고 한다. 이때, 적어도 M미터의 나무를 집에 가져가기 위해서 절단기에 설정할 수 있는 높이의 최댓값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

 

✔ 풀이

 

이 문제는 이분 탐색을 이용해 최댓값을 찾으면 되는 문제이다.

처음에는 시간 초과가 났었는데 나무의 수가 목표량을 넘어갈 때 brake를 걸어주니 통과됐다.

 

import sys
n, m = map(int,sys.stdin.readline().split())
array = list(map(int,input().split()))

start = 0
end = max(array)

result=0

while start <= end :
    mid = (start + end) //2
    total = 0

    for x in array:
        if x >= mid:
            total += x-mid
            if total > m:
                break

    if total >= m:
        result = mid
        start = mid +1
    else:
        end = mid -1

print(result)

 

728x90
반응형

'알고리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BOJ/Python3(파이썬)] 백준 11726번: 2xn 타일링  (0) 2021.12.22
[BOJ/Python3(파이썬)] 백준 14495번: 피보나치 비스무리한 수열  (0) 2021.12.22
[BOJ/Python3(파이썬)] 백준 2798번: 블랙잭  (0) 2021.12.22
[BOJ/Python3(파이썬)] 백준 18238번: ZOAC 2  (0) 2021.12.22
[BOJ/Python3(파이썬)] 백준 11399번: ATM  (0) 2021.12.22
    '알고리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    • [BOJ/Python3(파이썬)] 백준 11726번: 2xn 타일링
    • [BOJ/Python3(파이썬)] 백준 14495번: 피보나치 비스무리한 수열
    • [BOJ/Python3(파이썬)] 백준 2798번: 블랙잭
    • [BOJ/Python3(파이썬)] 백준 18238번: ZOAC 2
    goblin
    goblin

    티스토리툴바